본문 바로가기
개발환경

[개발환경] ffmpeg 사용법

by hong0 2019. 5. 20.
반응형

ffmpeg 사용법 (Windows)

 

1. 설치

https://ffmpeg.zeranoe.com/builds/ 에서 다운로드

설치할 경로에 압축 해제

내 컴퓨터 오른쪽 클릭 -> 속성 -> 고급 시스템 설정 -> 고급 탭 환경변수 -> Path 선택 -> 편집 -> 새로만들기 -> ffmpeg.exe가 포함된 폴더 경로 입력 -> 닫기

 

2. 사용법

cmd 창 -> 설치된 경로 이동 (XXX\bin folder까지 진입) -> ffmpeg 명령어 입력 (ffmpeg -i inputfile -option outputfile)

 

3. 명령어

video / audio pid 변경

-streamid 0:0x11 (video pid)

-streamid 1:0x14 (audio pid)

ffmpeg -i stream\test.ts -c copy -streamid 0:0x11 -streamid 1:0x14 result.ts

 

video codec 변경

-vcodec libx264 (video codec, H.264)

-c:a (audio codec은 copy로 지정 - 그대로)

ffmpeg -i stream\test.ts -vcodec libx264 -c:a result.ts

 

audio codec 변경

-c:v (video codec은 copy로 지정 - 그대로)

-acodec aac (audio codec, aac)

ffmpeg -i stream\test.ts -c:v -acodec aac result.ts

 

video 제거

-vn (video data 제거)

ffmpeg -i stream\test.ts -vn result.ts

 

audio 제거

-an (audio data 제거)

ffmpeg -i stream\test.ts -an result.ts

 

video / audio bitrate 설정

-b:v (video bitrate)

-a:v (audio bitrate)

ffmpeg -i stream\test.ts -b:v 10M -b:a 192k result.ts

 

4. 옵션

-version : 버전 정보

-format : 사용가능한 포멧, 코덱, 프로토콜을 보여줌.
-i <string> : 입력 파일 이름. 

 

비디오 옵션

-b <int> : 비디오 비트레이트를 bit/s단위로 설정 (기본=200k). 
-vb bitrate : 비디오 비트레이트 설정 (in bits/s)
-s size : 화면 크기 지정 (WxH 또는 비율)
-vcodec codec : 비디오 코텍를 강제로 지정

   libx264: h.264

   mpeg4: mpeg4

-vn : 비디오 비활성화

-b:v <숫자> : 비디오 비트레이트


오디오 옵션

-ac channels : set number of audio channels

-acodec codec : force audio codec

   ac3 : AC3 ( Dolby Digital ) 
   copy : 원본 데이터를 그대로 복사. 
   libfaac : AAC-LC 
   mp2 : MPEG Audio Layer II 
   mp3 : MPEG Audio Layer III 
   pcm_s16le : 비압축 16-bit PCM Audio

-an : 오디오 비활성화

-b:a <숫자> : 오디오 비트레이트

 

영상 옵션

-r : frame rate (Hz value, fraction or abbreviation)
-aspect : 비율 (4:3, 16:9 ...)
-b : bitrate (ex 512k)

 

ffmpeg Documentation 참고

http://ffmpeg.org/ffmpeg.html

반응형

'개발환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개발환경] ubuntu util 설치  (0) 2020.09.22
[개발환경] cloc 사용법  (0) 2020.06.16
[개발환경] Open DHCP Server 사용  (0) 2019.02.18
[개발환경] notepad++ 사용팁  (0) 2018.12.14
[개발환경] c++11 사용  (0) 2018.10.20

댓글